분류 전체보기88 2023.04.20 아침이면 잠든 뇌를 활성화시키고자 문제시트를 풀어보는데 오늘의 첫 문제는 배열의 유사성을 비교해서 같은 것의 개수를 출력하는 함수다 def solution(s1, s2): a = set(s1).intersection(s2) answer = len(a) return answer # def solution(s1, s2): # return len(set(s1).intersection(s2)) 방법이 여럿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 중에서 문제를 다시 한번 읽어보는 중 불현듯 떠오른 건 수학시간에 배웠던 교집합이 아닌가 답안으로 내놓은 해당 함수는 교집합을 해주는 함수이다 짐작이 틀리진 않은 건지 테스트 케이스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두번째 문제는 머쓱이 키보다 큰사람의 인원수를 구하기 def solution(.. 2023. 4. 21. 2023.04.19 장고심화강의를 학습하는 기간이지만 한시간 정도 해서 페어프로그래밍을 하기로 했다 팀 프로젝트 기간동안 미뤄두어서 오랜만이다 각자 문제를 골라 시도해보는 걸로 했는데 이래선 페어프로그래밍이 아니지만 문제에라도 익숙해져보자는 취지로 진행했다 1시간정도 문제를 풀어보고 풀이를 하기로 했다 어떤문제를 풀지 사전에 말하지않았는데 팀원중 한명과 문제가 겹쳐서 같은 문제로 본인 만의 문제 풀이를 하게 되었다 나머지 팀원은 저번 페어프로그래밍 때 문제를 풀었는지 또 다른 풀이를 보여주었다 문제는 '중복된 문자 제거' def solution(my_string): answer = '' check = list(set(my_string)) for s in my_string: if s in check: check.pop(che.. 2023. 4. 20. 2023.04.18 장고 심화과정 강의를 듣게 되었다 여유롭게 보려다가 미쳐 마무리하지못한 기초과정을 마무리하고 심화과정에 도입하려한다 이번 팀프로젝트는 여러면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팀원도 그러했는지 찜찜하게 남았던 부분을 고치는 코드를 짜내어 보여주었다 const link_a = document.querySelectorAll('.link a'); const home_a = document.querySelector('.home_a') // let close = true; home_a.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 link_a[0].classList.add('active1'); for (let i = 1; i { if (link.href === activeLink) { link.clas.. 2023. 4. 19. 2023.04.17 발표 한 주간의 팀 프로젝트가 결실을 맺는 오늘이다 결과로서 완성된 저번주라면 모두에게 피로함으로서 피어나는 결실이다 만반의 준비를 했다고 생각했다 ppt, 대본을 준비해서 발표시간도 염두해 두었다 obs studio를 사용하기 위해 얼추 기능을 보니 알 것 같았다 좀 더 여유를 두었다면 실수가 없었을 텐데, 슬라이드 쇼와 크롬을 각각 지정해서 간편하게 화면 전환이 가능하도록 했다 말로만 본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나는 몰랐던 것이다 한번이라도 리허설을 해봤다면 알았을 것을 발표를 하게 되는 줌에서는 화면 공유로 진행이 될텐데 obs는 비디오와 연결이 된다는 것 비디오로는 나의 캠 화면이 대체되는 것이고 그것은 화질이 훌륭하지 않다는 것 슬라이드 쇼를 지정할 때에는 웹으로 변경한 뒤 지정해야 내가 전환하는 .. 2023. 4. 1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