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88 2023.04.25 문제를 풀 때는 그에 대한 문해력이 필요하다 요컨데 문제가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가 같은 말이다 같은 의미이고 문제를 이해 못하면 문제를 시작하는 것조차 불가능 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오늘의 문제가 그러했다 연속된 세 개의 정수를 더해 12가 되는 경우는 3, 4, 5입니다. 두 정수 num과 total이 주어집니다. 연속된 수 num개를 더한 값이 total이 될 때, 정수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하도록 solution함수를 완성해보세요. 문해력이 참으로 감퇴한 것인지 읽어도 이해가 안된다 그럴 땐 조각을 내서 보아 본다 연속된 3개의 정수, - 3,4,5 더해서 12 두 정수 num, total 연속된 수 num 개 더한 total 정수 배열을 오름차순 정리를 해보니 문제가 보인다 tota.. 2023. 4. 26. 2023.04.24 이진수, 컴퓨터가 인식하는 방법이라 알고만 있었다 0을 제외하면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던가 파이썬 환경에서 변환했을 때 0b라는 접두어가 붙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다 bin, binary 알고리즘 문제시트에 있는 이진수 더하기 def solution(bin1, bin2): answer = '' bin_int1 = int(bin1, 2) bin_int2 = int(bin2, 2) answer = bin(bin_int1 + bin_int2)[2:] return answer 숫자만 제시된 상황에서 어떤 진법으로 구성된 숫자인지 알 수없다 고로 2진수라는 것을 명시해야 한다 int(bin, 2) 2진수인 bin을 10진수로 변환하여 더하고, 2진수로 다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answer에서 [2:]는 앞.. 2023. 4. 25. 2023 6주차 나의 실수를 되새김질하고 나의 배움을 정돈했다 직접해보는게 느는게 빠르다지만 배움이 없고 서야 이룰 수 있는게 있겠는가 시간을 내어 알고리즘 문제를 푼 것이 인상적이어서 남겼지만 강의또한 충분히 알찼다 몇주간 봐왔던 이 강의가 기초가 되리라, 가장 중요한 것이 된다는 말에 열심히 보고 익혀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023. 4. 24. 2023.04.21 상식을 증명하는 방법이 어렵다는 것을 깨닳는 경험을 했다 시작은 단순한 문제에서 시작했다 로그인 성공? -머쓱이는 프로그래머스에 로그인하려고 합니다. 머쓱이가 입력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담긴 배열 id_pw와 회원들의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db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이 로그인 성공, 실패에 따른 메시지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회원정보가 있으면 "login"을 return합니다. 로그인이 실패했을 때 아이디가 일치하는 회원이 없다면 “fail”를, 아이디는 일치하지만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회원이 없다면 “wrong pw”를 return 합니다. def solution(id_pw, db): answer = '' for i in range.. 2023. 4. 2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2 다음